'가계도 분석'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8.07.09 한우 가계도 상세분석(EPD와 도축성적 연관분석)
  2. 2018.07.01 한우 가계도 분석의 장점 3

다음 중 어느 개체의 성적이 잘 나올까?

 A개체는 EPD값이 A-B-C-C이고, 

 B개체는 EPD값이 D-C-B-D이다. 


표기상으로는 A개체가 더 좋을 것이라 쉽게 생각 할지 모르겠으나, 정답은 알 수 없다. 

왜냐하면 EPD에는 암소의 능력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아래 두 가계도를 살펴보자.



1) 도체중 관련된 수치를 한번 보자.


  가. 가계에서는 냉도체중 EPD 수치가  -5.168(D)에 293kg,  1.811(D)에서 345kg이 나왔다. 

  나. 가계에서는 냉도체중 5.206(C)에 317kg, 11.657(A)에 311kg이 나왔다.

  *양 가계모두 암소의 도축성적이 있어 암소만 비교함


  결국 가. 가계는 수치가 낮은데 비해 높은 도체중이 나온다. 


2) 등급 관련된 수치도 한번 보자.


  가. 가계에서는 근내지방 -0.036(D)에서 1++, 0.025(D)에서 1+이 나왔고,

  나. 가계에서는 근내지방 -0.015(D)에서 1, 0.358(C)에서 1+이 나왔다.


  이 역시, 가. 가계에서는 수치가 낮은데 비해 좀더 높은 등급이 나오고 있을을 알 수 있다.


이를통해 나. 가계에서는 좋은 씨수소 도입을 통해 높은 EPD능력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가. 가계의 숨겨진 암소의 능력치를 뛰어넘지는 못한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누구집 소는 정액 아무거나 넣어도 좋은소 나오더라. 이런 말 들어본 적 있는가?


결론적으로 EPD 값만으로 해당 개체를 판단하지 말고, 

선후대의 도축성적과 EPD값을 연계하여 추론하여야 한다.


 물론 위 사례에 대해서 분석자의 의도에 맞는 데이터만 뽑아서 가져온 것은 아닐까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

 아직 전국의 많은 농가를 분석해 본것이 아니므로 후대가 많으면서 차이가 확실한 예시를 만나보진 못했습니다. 분명 후대축이 적으면, 다양성이 크게 나타나서 결과를 일반화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론상 가능성 있는 해석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가계도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우 가계도 분석의 장점  (3) 2018.07.01
Posted by 이온의 일상
,

농장에는 많은 개체가 있다. 


그런데, 각각의 개체가 얼마나 뛰어난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 경험으로 또는 외관상 뛰어나 보이는 개체 

2. 직접 기록관리를 통한 선대 성적기록

3. EPD값을 통한 판단


등등


하지만 제일 믿을만한 정보는 선/후대 검증을 통해 도축결과가 어떻게 나왔느냐일 것이다.


보유개체가 한국종축개량협회에 등록되어있다면, 혈통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혈통관계 연계를 통해 아래와 같은 모계 가계도 구축이 가능하다.



※ 종개협에 등록만 되어 있다면 이전에 다른 농장으로 팔려 본인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개체의 후대정보들도 모두 수집하여 가계도 구축이 가능하다. 




아래 그림은 가계도를 구축 후,  선대에서 도축된 개체에 대해서는 도형 내 라벨색상(글자색상)을 도축등급을 표시하고, 도형의 라인색상을 특정 높은 도체중으로 구분해서 표시하였다.


이에따라 도형 라인색상 및 라벨색상이 빨강, 파랑, 녹색을 많이 포함할수록 도체중이 높고, 등급이 높은 개체들이다.


보유개체의 선대 가계도를 구축하고,  등급 및 도체중 정보 시각화를 통해서 다음을 알 수 있다.


1. 선대에 좋은 성적을 내 왔던 가계를 쉽게 파악 가능하다.

2. 선대 도축은 되었으나 성적이 뛰어나지 못한 가계도 쉽게 파악 가능하다.


이를 통해,

1에 해당하는 가계의 후대개체는 특별관리를 하여 우량개체로 관리를 할 수 있다.

2에 해당하는 가계의 후대개체는 도태 우선개체로 둘 수 있다.




※ 가계도 구축 서비스를 준비중입니다.







Posted by 이온의 일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