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에는 많은 개체가 있다. 


그런데, 각각의 개체가 얼마나 뛰어난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 경험으로 또는 외관상 뛰어나 보이는 개체 

2. 직접 기록관리를 통한 선대 성적기록

3. EPD값을 통한 판단


등등


하지만 제일 믿을만한 정보는 선/후대 검증을 통해 도축결과가 어떻게 나왔느냐일 것이다.


보유개체가 한국종축개량협회에 등록되어있다면, 혈통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혈통관계 연계를 통해 아래와 같은 모계 가계도 구축이 가능하다.



※ 종개협에 등록만 되어 있다면 이전에 다른 농장으로 팔려 본인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개체의 후대정보들도 모두 수집하여 가계도 구축이 가능하다. 




아래 그림은 가계도를 구축 후,  선대에서 도축된 개체에 대해서는 도형 내 라벨색상(글자색상)을 도축등급을 표시하고, 도형의 라인색상을 특정 높은 도체중으로 구분해서 표시하였다.


이에따라 도형 라인색상 및 라벨색상이 빨강, 파랑, 녹색을 많이 포함할수록 도체중이 높고, 등급이 높은 개체들이다.


보유개체의 선대 가계도를 구축하고,  등급 및 도체중 정보 시각화를 통해서 다음을 알 수 있다.


1. 선대에 좋은 성적을 내 왔던 가계를 쉽게 파악 가능하다.

2. 선대 도축은 되었으나 성적이 뛰어나지 못한 가계도 쉽게 파악 가능하다.


이를 통해,

1에 해당하는 가계의 후대개체는 특별관리를 하여 우량개체로 관리를 할 수 있다.

2에 해당하는 가계의 후대개체는 도태 우선개체로 둘 수 있다.




※ 가계도 구축 서비스를 준비중입니다.







Posted by 이온의 일상
,